참석자 단체 사진(2열
페이지 정보

본문
참석자 단체 사진(2열 좌측/직책 등 생략) 최종환, 오문성, 신용규, 이명희, 서정수, 김지연 (1열 좌측) 김용하, 박일규, 김윤, 백선희, 서명옥, 석재은 한국사회복지공제회(이사장 김용하)가 지난 22일 오전 10시 국회 의원회관 제8간담회실에서 백선희ㆍ김윤ㆍ서명옥 국회의원실 및 한국사회복지사협회와 함께 ‘사회복지인 퇴직연금 도입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공동 주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토론회는 노후 대비가 어려운 사회복지 현장의 구조적 문제를 진단하고, 퇴직연금 도입의 필요성과 정책 방향을 공론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아울러 제도 실현을 위한 ‘사회복지사법’ 개정의 필요성도 논의됐다. 토론회는 박일규 한국사회복지사협회 회장의 개회사로 문을 열었다. 공동 주최로 참여한 백선희 국회의원은 인사말에서 “사회복지사인 국회의원으로서 복지 현장의 처우 개선에 각별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며 “퇴직연금이 시급히 마련될 수 있도록 국회 안에서 할 수 있는 역할을 다하겠다”고 설명했다. 정책토론회 현장 김윤ㆍ서명옥 국회의원도 공동 주최자로서 각각 인사말을 전하며 사회복지인의 노후 보장 필요성에 공감했다. 두 의원은 “국회와 관계 정부 부처의 논의와 협력을 통해 법률 개정과 정책 실현이 본격화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토론은 김용하 한국사회복지공제회 이사장이 좌장을 맡아 진행됐다. 석재은 한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발제를 통해 복지 현장의 처우 사각지대를 분석하고, 사회복지인 퇴직연금 도입의 필요성과 함께 실질적인 정책 추진 방향을 제시했다. 지정 토론에는 ▲신용규 한국사회복지사협회 사무총장 ▲최종환 서울시립영등포장애인복지관 관장 ▲서정수 RNA애널리틱스 금융아카데미 원장 ▲오문성 한양여자대학교 세무회계학과 교수 ▲이명희 경향신문 논설위원 ▲김지연 보건복지부 복지정책과 과장 등 각계 전문가들이 참여해 각 현장의 입장과 정책적 제언을 폭넓게 나눴다. 한국사회복지공제회 김용하 이사장은 “사회복지인 퇴직연금 도입은 연금을 연금답게 만들어가는 출발점”이라며, “공제회는 사회복지인의 전 생애를 책임지는 든든한 동반자로서 안정적인 퇴직연금 운영을 위한 기반을 면밀히 다져나가겠다”고 말했다. 박시현 인턴기자 park.sihyun1@joongang.co.kr[열린라디오 YTN] ■ 방송 : YTN 라디오 FM 94.5 (20:20~21:00) ■ 방송일 : 2025년 5월 24일 (토요일) ■ 진행 : 최휘 아나운서 ■ 대담 : 신동광 작가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내용 인용 시 YTN라디오 <열린라디오 YTN> 인터뷰 내용임을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 최휘 아나운서(이하 최휘) : 열린 라디오 YTN, 이번에는 미디어 속 언어를 재해석 해보는 미디어 언어 시간입니다. 대통령 선거가 다가오고 있죠. 예전 대선 투표장은 12월의 쌀쌀한 바람으로 기억나는데요. 예정됐던 대통령 임기종료를 무려 2년이나 앞서 시행됩니다. 오늘은 대통령 선거와 관련된 말들의 어원과 유래를 알아보겠습니다. 매일경제에 어원 칼럼 '말록 홈즈' 시리즈를 연재하고 계신 신동광 작가 모셔보겠습니다. 작가님, 안녕하세요? ◇ 신동광 작가(이하 신동광) : "말 속에 답이 있다", 안녕하세요, 말록 홈즈 신동광입니다. 더운 날씨에 노고가 많으십니다. ◆ 최휘 : 맞아요, 5월인데 벌써부터 후텁지근합니다. 그래서 처음으로 초여름에 치르는 이번 대선일 모습도 궁금해지는데요. 작가님은 이번 여름 선거에 대해 어떤 느낌이 드시나요? ◇ 신동광 : 어리둥절하죠. 대통령 선거는 항상 겨울이었는데, 2017년부터 봄날에 투표를 하다가 이번에는 여름으로 바뀌었으니까요. 날씨를 떠나 대통령 선거가 불확실해지면, 나라가 불안해집니다. 국민들의 불안, 경기 침체, 대외 신뢰도의 추락은, 먹고 살기 힘든 서민들에게 더 치명적입니다. 보수와 진보를 떠나, 앞으로는 부디 우리나라 국정이 공정하고 안정적으로 운영되길 소망합니다. 행여라도 분주한 가을에 투표소에 가는 상황은 절대 벌어지지 않기를 염원합니다. ◆ 최휘 : 공감합니다. 가을 대선은 겪지 않고 싶네요. 자, 오늘은 대선에 대한 주제로 하나하나 어원 풀이를 부탁드리겠습니다. 먼저 대통령부터 알아볼까요? ◇ 신동광 : 네, 출발합니다. '대통령(大統領)'은 '큰 대(大)', '거느릴 통(統)', '우두머리 령(領)'자로 이뤄진 말입니다. '으뜸 지도자'를 의미하죠. 대통령의 영어 단어 '프레지던트(president)'는 라틴어
- 이전글안전놀이터 【룰라보증.com / 가입코드 9000】 팔로우 주소 25.05.26
- 다음글홍대가라오케알바 [전화 O1O-5682-2536] 홍대노래방알바 홍대노래방도우미 홍대룸알바 25.05.2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